구분 | 설명 |
오용 | 의학적인 목적으로 사용하나 의사의 처방에 따르지 않고 임의로 사용 |
남용 | 의도적으로 약물을 다른 목적을 위해 사용하는 것 |
의존 | 마약류 및 약물을 지속적, 주기적으로 사용한 결과, 사용자에게 정신적 신체적 변화를 일으켜 사용자가 마약류 및 약물 사용을 중단하거나 조절하는 것을 어렵게 하는 상태 |
중독 | 약물 사용에 대한 강박적 집착, 일단 사용하기 시작하면 끝장을 보고야 마는 조절 불능, 해로운 결과가 있으리라는 것을 알면서도 강박적으로 사용하는 상태를 말하며 심한 심리적 육체적 의존상태 |
![]() |
마약 등의 약물류에 중독되면 입원치료를 받는 경우가 상당히 많습니다. 우선, 심한 금단증상이나 심각한 신체적인 문제를 동반하는 경우 반드시 입원치료를 받도록 권유합니다. 또한 약물 중독의 경우 우울, 불안, 충동성, 환각 등 정신과적 증상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러한 경우에도 입원치료가 필요합니다. 그 밖에 병식이 없어 치료에 저항을 보이거나 자신 및 타인의 생명에 심각한 위협에 노출되는 경우 비자발적인 입원치료가 필요하기도 합니다. |
![]() |
금단 증상을 완화하고 동반되는 다양한 정신 증상을 제어하는 것입니다. 금단 증상의 공포에서 벗어나면 약물에 대한 탐닉의 충동을 억제하는 약물치료가 필요합니다. |
![]() |
정신치료, 인지행동치료, 동기강화훈련, 집단 및 가족 치료 등 환자의 상황과 현실에 맞는 다양한 치료기법이 사용됩니다. |